네트워크

아파트에 공유기 2대 설치하기

블루네트워크 2025. 6. 16. 19:36
728x90
반응형
SMALL

아파트에 공유기 두 대를 설치해서 더 넓은 무선 커버리지나 더 나은 네트워크 성능을 얻고자 한다면, 기본 공유기(메인 공유기) + 보조 공유기(서브 공유기) 구성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아래는 구성도와 설정 방법을 쉽게 설명한 가이드입니다.


✅ 공유기 2대 구성도 (가장 흔하고 안정적인 방식)

[인터넷 회선]
     │
[인터넷 모뎀 또는 벽 랜포트]
     │
[메인 공유기 (공유기1)]
     │
     ├── Wi-Fi 존 A
     └── 랜 케이블
          │
    [서브 공유기 (공유기2)]
          └── Wi-Fi 존 B
  • 공유기1: 인터넷이 연결된 메인 공유기 (예: 거실)
  • 공유기2: Wi-Fi 사각지대 해소용, 랜 케이블로 메인 공유기와 연결 (예: 방 안)

✅ 설치 방식: “브리지 모드” 또는 “AP 모드” 구성

목표: 공유기 2대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작동하게 만들어야 함. 즉, 스마트폰이 방에서 거실로 이동해도 Wi-Fi가 끊기지 않게.


🛠 설정 방법 (쉽게 설명)

1. 메인 공유기(공유기1) 설치

  • 인터넷 회선을 메인 공유기 WAN 포트에 연결.
  • 초기 설정 (IP 자동 설정, Wi-Fi 이름 설정 등) 진행.

2. 서브 공유기(공유기2) 설치

💡 연결 방식: 유선 연결 추천

  • 메인 공유기의 LAN 포트 → 서브 공유기의 LAN 포트랜 케이블 연결
  • ⚠️ WAN 포트는 사용하지 말 것 (서브 공유기가 따로 NAT하지 않게 하기 위함)

📋 설정 방법 (공유기2)

  1. 공유기2에 접속 (PC에 연결 후 웹브라우저에서 192.168.x.x 접속)
  2. DHCP 서버 끄기
    • 설정 → 네트워크 설정 → DHCP 서버 → "비활성화"
  3. IP 주소 변경 (충돌 방지용)
    • 예: 공유기1 IP가 192.168.0.1이면, 공유기2는 192.168.0.2로 수동 설정
  4. Wi-Fi SSID와 비밀번호 설정
    • SSID(이름)를 공유기1과 같이 해도 되고, 다르게 해도 됨
      • 예: 같이 하면 자동 전환됨 (로밍), 다르게 하면 구분됨
  5. 랜 케이블 연결
    • 공유기1 LAN → 공유기2 LAN으로 연결

✅ 추천 구성

항목 메인 공유기 (거실) 서브 공유기 (방)

DHCP 활성화 비활성화
IP 192.168.0.1 192.168.0.2
SSID MyWiFi MyWiFi 또는 MyWiFi_2
연결 WAN에 인터넷 회선 LAN에 메인 연결

❗ 주의사항

  • 공유기2는 무조건 LAN 포트로 연결 (WAN 포트 연결 시 이중 NAT 문제 발생)
  • 랜 케이블 연결이 어려운 경우, 무선 브리지(WDS)나 메시 Wi-Fi 시스템 고려

📱 구성 예시 그림

[인터넷 회선]
     │
[메인 공유기]  → SSID: MyWiFi
     │
[LAN 포트]
     │
 ┌── 랜 케이블 ─────┐
 │                  │
↓                  ↓
PC              [서브 공유기]  → SSID: MyWiFi 또는 MyWiFi_2
                    │
                    ↓
               스마트폰, 노트북

 

728x9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