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iptime 공유기 포트포워딩 상세 설명
블루네트워크
2025. 5. 21. 15:55
728x90
반응형
SMALL
ipTIME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을 설정하는 방법을 아래에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드릴게요. 이 설정은 특정 포트로 들어오는 외부 요청을 내부 네트워크의 특정 장치(예: PC, NAS 등)로 전달할 때 사용합니다.
✅ 준비사항
- 포트포워딩이 필요한 내부 장치의 IP 주소 (예: 192.168.0.10)
- 사용하려는 포트 번호 (예: 8080, 22, 3389 등)
- 공유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설정
🔧 포트 포워딩 설정 단계
1. ipTIME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
- 웹브라우저에서 주소창에 192.168.0.1 입력 (또는 공유기 뒷면에 표시된 주소)
- 관리자 ID/비밀번호 입력
2. 고급 설정 메뉴 진입
- 초기화면에서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 클릭
3. 포트포워딩 규칙 추가
- 규칙 이름: 구분용으로 원하는 이름 입력 (예: NAS_HTTP)
- 내부 IP 주소: 포워딩 대상 기기의 내부 IP (예: 192.168.0.10)
- 프로토콜: TCP, UDP, 또는 TCP+UDP 선택
- 외부 포트: 외부에서 접근할 포트 번호 (예: 8080)
- 내부 포트: 내부 장치가 사용하는 포트 (같으면 동일하게 입력)
- 규칙 사용: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
→ 예시:
규칙 이름 내부 IP 프로토콜 외부 포트 내부 포트
NAS_HTTP | 192.168.0.10 | TCP | 8080 | 80 |
4. 저장 및 적용
- 하단의 [추가] 버튼 클릭 → [적용] 버튼 클릭
🌐 외부에서 접속 확인
- 외부에서 접속할 땐 공인 IP:외부포트 형태로 접속
- 예: http://123.45.67.89:8080
- 공인 IP는 https://whatismyipaddress.com 등에서 확인 가능
✅ 주의사항
- 내부 IP는 고정 IP로 설정해야 포워딩이 유지됩니다. DHCP가 아닌 수동 설정 또는 DHCP 예약(공유기에서 가능) 사용 권장.
- 공유기에서 공인 IP를 받아야 포트포워딩이 동작합니다. 일부 인터넷은 사설 IP를 배정하므로 이 경우 DMZ/IPv6 설정 또는 DDNS와의 연동이 필요합니다.
- 방화벽이나 백신 프로그램이 포트를 차단하지 않도록 설정 확인 필요.
✅ 포트포워딩 자주 쓰는 예시
서비스 기본 포트 프로토콜
HTTP (웹) | 80 | TCP |
HTTPS | 443 | TCP |
RDP (원격) | 3389 | TCP |
FTP | 21 | TCP |
SSH | 22 | TCP |
Minecraft | 25565 | TCP/UDP |
728x9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