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와이넷

노트북 내장형 그래픽에서 그래픽 카드로 상시 사용하기 설정 방법 본문

PC(컴퓨터)

노트북 내장형 그래픽에서 그래픽 카드로 상시 사용하기 설정 방법

블루네트워크 2025. 10. 17. 18:43
728x90
반응형
SMALL

기본적으로는 절전 목적으로 내장 그래픽을 우선 사용하고, 그래픽이 무거운 작업 시에만 외장 그래픽으로 전환합니다.

하지만 원한다면 상시 외장 그래픽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NVIDIA / AMD / Windows 기본 설정 3가지 방식으로 정리한 방법입니다 👇


🟡 1. Windows 10 / 11 설정에서 고성능 GPU(외장 그래픽)로 고정하기 (공용 방법)

  1. 작업 표시줄에서 ➝ 시작 버튼 클릭
  2. “설정”(⚙️) ➝ 시스템(System)디스플레이(Display)
  3. 아래쪽 “그래픽 설정” 클릭
  4. 앱 선택 방식
    • “바탕 화면 앱” 선택 ➝ “찾아보기” ➝ 프로그램 실행 파일(.exe) 선택
  5. 목록에 추가된 앱을 클릭 ➝ “옵션” 선택
  6. “고성능” 선택 (외장 그래픽카드 선택됨) ➝ “저장”

👉 이렇게 하면 해당 프로그램은 항상 외장 그래픽으로 실행됩니다.
👉 예: 게임, 영상편집 프로그램, 3D 툴 등.


🟢 2. NVIDIA 그래픽카드 전용 설정 (NVIDIA 제어판)

  1. 바탕화면 우클릭 ➝ “NVIDIA 제어판” 실행
  2. 좌측 메뉴 ➝ “3D 설정 관리” 클릭
  3. 상단 탭 ➝ “프로그램 설정”
  4. 원하는 프로그램 추가 ➝ “이 프로그램에 대한 기본 그래픽 프로세서 선택” ➝
    👉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 선택
  5. “적용” 클릭

✅ 전체 시스템을 외장 GPU로 강제하려면:

  • 좌측 “3D 설정 관리” ➝ “전역 설정” 탭 ➝
  • “기본 그래픽 프로세서”를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로 변경 ➝ 적용

⚠️ 이 방법은 전력소모가 늘어나 배터리 사용시간이 줄어듭니다.


🔴 3. AMD 그래픽카드 전용 설정 (AMD Radeon 설정)

  1. 바탕화면 우클릭 ➝ “AMD Radeon 설정” 열기
  2. “시스템” ➝ “스위처블 그래픽” 선택
  3. 프로그램 목록에서 원하는 앱 선택 또는 수동으로 추가
  4. 전력 모드를 “고성능”으로 변경

✅ 전체를 외장 GPU로 고정하고 싶다면:

  • “환경설정” ➝ “그래픽” ➝ 전원 모드 → 고성능 선택

🧰 추가 팁

  • UEFI/BIOS에서 내장 그래픽 끄기
    일부 노트북은 BIOS에서 iGPU를 끄고 외장 GPU만 사용하도록 설정 가능합니다.
    → 재부팅 ➝ F2 또는 DEL 키로 BIOS 진입 ➝ “Advanced” 또는 “Graphics” 메뉴 ➝ iGPU Disable
    ⚠️ 모델마다 메뉴 이름이 다름. 제조사 매뉴얼 참고 필수.
  • 전원 옵션 설정
    전원 모드가 “절전”이면 GPU가 자동으로 iGPU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 “고성능” 또는 “최고 성능” 전원모드로 변경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HDMI/DP 출력 단자가 외장 그래픽과 직접 연결돼 있는 노트북이라면, 외부 모니터를 연결할 경우 자동으로 외장 GPU를 우선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요약 정리

방법 대상 장점 단점

Windows 그래픽 설정 모든 노트북 간단 설정, 프로그램별 지정 가능 전체 시스템 고정은 어려움
NVIDIA 제어판 NVIDIA GPU 전역/앱별 고정 가능 전력 소모 증가
AMD Radeon 설정 AMD GPU 전역 고정 및 앱별 설정 가능 모델에 따라 옵션 다름
BIOS 설정 일부 고급형 노트북 완전 고정 가능 모든 모델 지원 아님

 

728x9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