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와이넷

방송(구내방송, 전관방송) 차이, 개념, 구성방식 본문

AV

방송(구내방송, 전관방송) 차이, 개념, 구성방식

블루네트워크 2025. 6. 9. 20:21
728x90
반응형
SMALL

 

🔷 1. 개념

✅ 구내방송 (構內放送 / In-House Broadcasting)

  • 정의: 특정 건물이나 시설 내부에서 사용하는 방송 시스템입니다.
  • 목적: 안내 방송, 긴급 상황 알림, 배경음악(BGM), 공지사항 등을 전달.
  • 적용 장소: 학교, 병원, 회사, 공장, 백화점, 대형 매장 등.

즉, 하나의 건물 또는 특정 구역 내부에 한정된 방송 시스템입니다.


✅ 전관방송 (全館放送 / PA: Public Address System)

  • 정의: 하나의 건물 전체 또는 복수의 건물로 구성된 시설 전체(캠퍼스, 공장단지 등)에 방송을 송출하는 시스템입니다.
  • 목적: 긴급 방송, 전 시설 통합 방송, 화재/재난 경보, 전원 일괄 제어 등.
  • 적용 장소: 호텔, 대형 쇼핑몰, 공장단지, 군부대, 관공서 등 복합시설 또는 다동(多棟) 구조에 적합.

즉, 전체 시설 또는 건물 단지를 통합하여 제어하는 방송 시스템입니다.


🔷 2. 주요 차이점

구분 구내방송 전관방송

방송 범위 건물 내부 또는 특정 구역 전체 건물/시설 단지
제어 방식 독립 제어 중앙 집중 제어
적용 장소 학교, 병원, 매장 등 단일 시설 호텔, 복합건물, 캠퍼스형 시설
우선순위 방송 제한적 (비상 시 수동 전환) 지원 (자동 긴급방송, 경보 우선)
확장성 제한적 높은 확장성 (멀티존 지원)
주 사용 목적 안내, BGM 재난 대응, 통합 안내

🔷 3. 구성 방식

✅ 구내방송 구성도 (기본형)

[마이크/오디오 입력]
        ↓
    [믹서 앰프]
        ↓
  [스피커 라인 (1존)]
        ↓
    [천장/벽부형 스피커]
  • 소규모 구성, 보통 1~2존(zone).
  • BGM + 마이크 방송 가능.
  • 기본형 앰프 하나로 방송 제어.

✅ 전관방송 구성도 (멀티존 + 비상방송 포함형)

[방송센터]
├── [마스터 제어기]
├── [비상방송 인터페이스] ← 화재수신반 연동
├── [디지털 매트릭스 or 아날로그 매트릭스]
├── [BGM/마이크 입력]
└── [파워 앰프들]
       ↓
   [존별 분배기 / 존 컨트롤러]
       ↓
   [각 존의 스피커]
  • 멀티존 제어 가능 (예: 1층, 2층, 옥상 각각 방송 가능)
  • 비상방송 우선 제어 (화재 경보 시 자동 전환)
  • 스케줄 방송, 원격 방송 가능 (네트워크 기반 시스템 사용 시)

🔷 4. 주요 기술 및 트렌드

  • IP 기반 방송 시스템 (네트워크 기반 전관방송): 대규모 건물군 제어에 용이.
  • PoE 스피커: 전원 공급 없이 LAN으로 연결, 설치 간편.
  • 화재 연동 시스템: 자동으로 방송 전환 및 대피 안내.
  • 스케줄러 기능: 자동 종소리, 알림 방송 등.

🔷 5. 용도에 따른 선택 가이드

사용 환경 추천 시스템

소형 사무실, 단일 학원 구내방송 시스템
학교 전체, 복합 쇼핑몰, 공장 단지 전관방송 시스템
재난방송, 네트워크 확장 필수 전관방송 (IP 기반)

 

728x9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