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와이넷

OTDR 설정, 테스트, 해석 본문

네트워크

OTDR 설정, 테스트, 해석

블루네트워크 2025. 5. 24. 22:15
728x90
반응형
SMALL

다음은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의 설정 방법, 테스트 절차, 결과 해석에 관한 실무 중심의 안내입니다. OTDR은 광케이블의 손실 측정, 장애 지점 파악, 이벤트 분석에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 OTDR 개요

OTDR은 광 신호를 발사하고, 광섬유 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분석하여 삽입 손실, 반사 손실, 장애 위치 등을 측정합니다.


⚙️ OTDR 설정 방법

설정 항목 설명

파장 (Wavelength) 일반적으로 1310nm / 1550nm 사용 (싱글모드 기준)
펄스 폭 (Pulse Width) 신호 범위 조절: 좁은 폭 → 높은 해상도, 넓은 폭 → 긴 거리 측정
범위 (Range) 테스트할 거리 이상으로 설정 (예: 1km 측정 시 2km로 설정)
분해능 / 샘플링 간격 고해상도 측정 시 좁게 설정 (단거리 측정 시 권장)
지연 시간 (Averaging Time) 노이즈 제거: 15초 이상 설정하면 신호가 더 명확해짐
인덱스 (IOR) 광섬유 굴절률, 일반적으로 1.468~1.470 (케이블 스펙 확인)

🧪 OTDR 테스트 절차

  1. 장비 준비
    • OTDR 본체, 테스트용 광섬유 점퍼 케이블, 데드존 제거용 Launch 케이블 준비
  2. 케이블 연결
    • OTDR → Launch 케이블 → 테스트 대상 광케이블 → Receive 케이블(종단 감지용) 연결
    • 접속부는 모두 청소 후 연결
  3. 파라미터 설정
    • 위에서 설정한 항목 입력 (파장, 거리, 펄스폭 등)
  4. 테스트 시작
    • OTDR 측정을 시작하면 파형(Trace)과 이벤트 리스트가 생성됨
  5. 결과 저장 및 보고서 작성
    • 이벤트 목록, 손실(dB), 거리(m) 데이터 자동 생성
    • PDF 또는 CSV 등 형식으로 저장 가능

🔍 OTDR 결과 해석

OTDR 결과는 Trace 곡선과 **이벤트 테이블(Event Table)**로 구성됩니다.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테스트에서 생성되는 **파형(Trace)**은 광케이블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접속점, 굴곡, 단선 등)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곡선입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OTDR 파형 샘플 유형과 그에 대한 해석 예시입니다.


📈 OTDR 파형 샘플 및 설명

1. 정상 파형

|\
| \
|  \
|   \__________________
|                       \
|                        \
  • 해석: 신호가 서서히 감쇠하며 전송됨 (정상 상태)
  • 특징: 큰 스파이크(반사)나 급격한 손실 없음
  • 활용: 새로 설치된 광케이블, 고품질 접속의 예

2. 커넥터 반사 (High Reflectance Event)

|\
| \
|  \
|   \_____|‾‾|
|           |
|           |
  • 해석: 커넥터나 미접속 상태에서 강한 반사 발생
  • 특징: 수직 스파이크(Spike)처럼 보임
  • 원인: 커넥터 오염, 접속 불량, 미연결

3. 접속 손실 (Fusion Splice / Mechanical Splice)

|\
| \
|  \
|   \____
|        \
  • 해석: 접속 지점에서 소량의 손실 발생
  • 특징: 미세한 수직 낙하 후 다시 안정적인 감쇠 곡선
  • 허용 범위: 접속 1개당 0.1~0.3dB 이하가 일반적

4. 굴곡 손실 (Macrobend / Microbend)

|\
| \
|  \
|   \__
|      \
|       \______
  • 해석: 케이블이 휘거나 눌려서 생긴 손실
  • 특징: 갑작스런 손실 이후 계속 전송되지만 감쇠가 커짐
  • 조치: 배선 상태 확인 및 굴곡 최소화 필요

5. 단선 또는 종단 (Break / End of Fiber)

|\
| \
|  \
|   \__________
|             |
|             |
|_____________|
  • 해석: 광이 종단에서 완전히 반사되어 돌아옴
  • 특징: 수직 낙하 후 평평하게 반사된 파형
  • 활용: 광섬유 길이 측정, 단선 지점 파악

📝 요약 정리

파형 형태 원인 또는 상태 대응

부드러운 감쇠 곡선 정상 전송 상태 확인 후 저장
스파이크 반사 이벤트 (커넥터, 미접속) 연결부 확인, 청소
미세 낙하 접속 손실 (퓨전, 커넥터) 허용 기준 확인
급격한 낙하 굴곡, 손상, 단선 위치 추적 후 수정
평평한 종단 반사 종단 또는 단선 거리 기록 및 종단 확인

필요하시면 실제 OTDR 파형 이미지 예시나, 특정 유형별 해석 훈련 자료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설치 환경이나 케이블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측정 거리나 사용 파장 등을 알려주시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해 드릴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