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와이넷

티피링크 공유기 DDNS 설정, 특정 서비스 설정 본문

네트워크

티피링크 공유기 DDNS 설정, 특정 서비스 설정

블루네트워크 2025. 5. 22. 15:49
728x90
반응형
SMALL

 

✅ 1. DDNS 설정 (TP-Link 공유기)

📌 DDNS란?

공인 IP 주소가 수시로 바뀌는 환경에서도 고정된 도메인 주소(예: myhome.tplinkdns.com)를 통해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 DDNS 설정 단계 (신형 UI 기준, 대부분 최신 공유기 동일)

1.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

  • 웹 브라우저에서 주소창에 http://192.168.0.1 또는 http://tplinkwifi.net 입력
  • 관리자 계정 로그인

2. DDNS 설정 메뉴 이동

  • 왼쪽 또는 상단 메뉴에서 고급(Advanced) → 네트워크(Network) → 동적 DNS(Dynamic DNS) 선택

3. TP-Link ID로 로그인

TP-Link DDNS 서비스를 사용하려면 TP-Link ID(이메일 기반 계정)가 필요합니다.


4. 도메인 등록

  • 서비스 공급자: TP-Link
  • 호스트 이름: 원하는 도메인 입력 (예: myhome → 주소는 myhome.tplinkdns.com)
  • 저장 후 연결 상태가 Connected 로 바뀌면 성공

✅ 2. 특정 서비스에 DDNS + 포트포워딩 적용

이제 이 도메인 주소로 외부에서 집 내부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됩니다.


예시 1: NAS 접속 (웹 포트 사용)

1. NAS의 내부 IP 확인

예: 192.168.0.100

2.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설정

  • 고급 → NAT 포워딩 → 포트 포워딩
  • 추가(Add) → 아래 내용 입력:

항목 설정 예시

서비스 이름 NAS_HTTP
외부 포트 8080
내부 IP 주소 192.168.0.100
내부 포트 80
프로토콜 TCP
사용 설정 사용함 (Enable)

→ 저장

3. 외부 접속 테스트


예시 2: Windows 원격 데스크톱 (RDP)

1. 원격 PC의 내부 IP 확인

예: 192.168.0.105

2. 포트포워딩 설정

  • 외부 포트: 3389 (또는 보안을 위해 다른 번호)
  • 내부 포트: 3389
  • 내부 IP: 192.168.0.105
  • 프로토콜: TCP

→ 저장

3. 외부에서 접속

  • Windows RDP 클라이언트에서:
    myhome.tplinkdns.com:3389

예시 3: Minecraft 서버

1. 서버가 설치된 PC의 IP 확인

예: 192.168.0.120

2. 포트포워딩 설정

  • 외부 포트: 25565
  • 내부 포트: 25565
  • 내부 IP: 192.168.0.120
  • 프로토콜: TCP/UDP

→ 저장

3. 접속 시 사용 주소

  •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myhome.tplinkdns.com:25565

✅ 추가 설정 (보안 및 안정성)

항목 설명

내부 IP 고정 공유기에서 DHCP 예약 기능 사용해서 IP가 바뀌지 않게 설정
공유기 외부 접근 차단 관리자 설정은 외부 접속 금지로 설정 (보안 강화)
방화벽 확인 포트가 OS 또는 백신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설정
이중 NAT 문제 통신사 모뎀도 공유기 기능을 하면 포트포워딩이 실패할 수 있음 (브리지 모드 필요)

✅ 요약

기능 위치 (TP-Link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DDNS 설정 고급 → 네트워크 → 동적 DNS
포트포워딩 고급 → NAT 포워딩 → 포트포워딩
DHCP 예약 고급 → 네트워크 → 고급 설정 → 주소 예약

 

728x90
반응형
SMALL